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창업일지] 창업 부트캠프 <창> 5주차
    Study/Product 2022. 10. 3. 23:17

    1. 지난주에 배운 것들

    1) 창

    MVP 개발 / 가설 검증 특강

    이번 창업세션 강연은 이번주 북클럽 책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내용과 거의 비슷했다.

     

    <MVP>

    핵심 가설을 검증해볼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만 탑재한 제품

    중요한 이유: 대부분의 아이디어는 시장에서 그다지 원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

     

    *와이어프레임 그리기 - Figma 활용

     - 팀원과의 협업 매우 용이

     - 다만 피그마의 code 기능은 부실, 게다가 flutter 미지원

     

    개발 과정에서 유의할 점

     - 1-2달 이내에 개발을 끝낸다고 생각. 시간이 가장 중요한 자원

     - 거인의 어깨 위에서 개발하자. 채팅, 영상통화를 바닥부터 구현하는 일은 사치

     - Scalability를 잘 고려해야 한다. 스케일업이 용이한 구조인가?

     - 적절한 라이브러리 / API를 잘 찾아서 최대한 이용하자

       ex) Firebase / sendbird / twilio / agora.io

     

    기타 추천 툴

    1) Amplitude

     - 출시 직전에 애널리틱스 툴을 반드시 심는다. 최대한 정량적인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2) Sentry

     - 프로덕션 환경에서 발생하는 에러를 잡을 수 있는 툴

     

    <프리토타이핑>

    MVP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기 앞서, 아이디어를 미리 검증 (실패 확률 높기 때문)

     

    프리토타입 방법론

    * 가짜 문 프리토타입 : 존재하지 않는 제품 (ex. 사전 수요조사, 광고 반응 수 파악)
    * 외관 프리토타입 : 껍질만 있는 제품 (ex. 사전예약, 랜딩페이지 개설)
    * 유튜브 프리토타입 : 데모 영상 제작 (ex. Dropbox) 
    * 하룻밤 프리토타입 : 특정 장소에서 단기간 (ex. 에어비앤비, 팝업스토어)
    * 잠입자 프리토타입 : 다른 누군가의 판매 환경에 제품 비치 (이케아에 몰래 진열)
    * 상표 바꾸기 프리토타입 : 기존 제품/서비스의 외관을 조금 바꾸기
    * 한 입 프리토타입 : 미리 체험
    * 또는 이들의 변형과 조합

     

    <XYZ 가설 세우기>

    숫자로 검증 가능한 가설을 세우는 것이 중요

     

    "적어도 X 퍼센트의 Y 는 Z 할 것이다"

     

    ex) 적어도 5퍼센트의, 인스타그램 광고에 노출된 사용자는, 랜딩페이지 내 사전 신청 버튼을 눌러줄 것이다.

     

    X: 임의로 설정 / 레퍼런스 삼을 데이터가 있으면 좋음

    Y: 모든 사용자가 아닌 특정 사용자를 잘 정의

    Z: 실제로 유저가 적극적으로, 본인의 시간과 자원을 써서 관심을 갖는지 확인

     

    *조금씩 아이디어를 수정하여 계속 검증 > XYZ 가설을 초과 달성하는 결과가 계속 나온다면 성공!

     

    유용한 툴

    * bit.ly / rebrand.ly : 링크를 한번 감싸서 얼마만큼 클릭이 일어났는지 확인 가능
    * 구글 폼 / Typeform(유료) : 설문조사 툴 (좋은 방법은 아닌듯
    * 노션(with oopy.io) / 아임웹 / Unbounce : 랜딩페이지 제작 with CTA 버튼
    * 채널톡 : 웹을 사용하는 유저가 운영진에게 소통할 수 있는 웹 내 메신저 제공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 광고

     

     

    2) Flutter

    Flutter에 Firebase를 이용하여, 로그인 구현 및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를 이용하여, 버킷리스트 앱을 다시 만들었다.

    실습과제로는 미니프로젝트 <토스> 앱 만들기가 진행된다. 나는 이미 팀빌딩이 완료되어 미니프로젝트에서 제외된 관계로, 개인적으로 시간을 내어 도전해보려고 한다.

     

     

    2. 지난주 회고

    9/26 - 10/2

    플러터

    처음보다는 훨씬 더 수월해진 느낌이 든다. 강의를 마치는데 전보다 시간이 훨씬 줄었다. 확실히 개발일지에 내가 몰랐거나 다시 공부하고 싶은 내용들을 따로 찾아 정리하면서 더 이해가 깊어졌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이 마지막 주차고 더 이상 플러터 강의는 없다. 처음부터 다시 복습하거나, 혹은 다른 인강을 찾아 몇 가지 프로젝트를 더 해보고 싶다. 또한, 실전에 약하기 때문에 실전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고민이 되었다.


    북클럽

    6회차 북클럽에는 사람이 많이 줄었다. 그만둔 사람들도 있고, 이미 팀 빌딩이 완료된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 뒤풀이 자리에서 여러 사람들과 또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는데, 정말 좋은 분들이 많은 것 같아 좋았다. 사람들이 많이 줄어든 관계로 다음 주 북클럽을 갈지 많이 고민이 된다. 그래도 다음 책인 <배민다움>은 구매해두었다. 북클럽 책의 구성이 나름 고심하여 선정된 책 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은 장병규의 스타트업으로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 알고, 마지막에 배민다움으로 마케팅에 대한 이야기를 알 수 있을 것 같다.


    <창>5주차

    이번에는 팀 빌딩이 완료되어, 건강 정보 앱 팀과 함께 앞으로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팀원 구성이 나름 골고루 잘 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으로 로드맵을 세워보니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없었다. 프리토타이핑과 MVP까지 완성하려면, 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다. 게다가 다들 직업이 있기 때문에 더더욱 촉박한 시간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최종 목표를 수정해야 할지도 모르겠지만, 의미 있는 시간과 결과가 있었으면 좋겠다.

     

     

    3. 이번주 목표

    1) 5주차 Flutter 강의 마무리, 개발일지 업로드, 미니프로젝트 도전, GIT 협업 강의 수강

    2) <배민다움> 읽고 요약하기

    3) 건강정보 앱 와이어프레임 가안 완성하기, 네이밍 고민하기

     

     

    Flutter강의는 전부 수강 완료하였다. 이제, 미니프로젝트 <토스>를 스스로 진행해봐야겠다.

    또한, 팀프로젝트의 와이어프레임을 완성해야 한다. 시간을 내어 와이어프레임 레퍼런스를 참고하여 하이어아키까지 만들어봐야겠다.

    앱네이밍은 확장성이 좋은 이름으로 고민해보려 한다.

     

     

    반응형

    댓글

© 2023. titann all rights reserved